블로그 이미지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WWDC22] Design protocol interfaces in Swift
    iOS 2022. 6. 16. 18:08
     

    Design protocol interfaces in Swift - WWDC22 - Videos - Apple Developer

    Learn how you can use Swift 5.7 to design advanced abstractions using protocols. We'll show you how to use existential types, explore how...

    developer.apple.com

    Understand type erasure

    연관 타입을 가진 프로토콜이 existential 타입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볼 것이다.

    Animal 프로토콜에 produce() 메서드를 추가해서 음식을 생산하는 것을 추상화했다. 다른 동물마다 달라지는 produce()의 리턴 타입을 추상화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연관 타입을 쓰는 것이다.

     

    연관 타입을 써서 어떤 Animal concrete 타입에서 produce()를 호출하면 concrete Animal 타입에 따라 특정 타입의 Food가 리턴됨을 표현했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위와 같다. SelfAnimal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실제 concrete 타입이 된다. SelfCommodityType 연관 타입이 있고, 이 연관 타입은 Food를 준수한다.

    Animal 프로토콜을 구현한 concrete 타입 CowAnimal 프로토콜을 준수하고 CommodityType으로 Milk를 가지고 있다.

    Farmanimals 배열은 any Animal의 heterogenous 배열이다.

    any Animal 타입은 동적으로 어떠한 concrete 동물 타입이라도 저장할 수 있는 박스를 표현한 것과 같다. 이렇게 다른 concrete 타입들을 모두 나타내기 위해 하나의 표현법을 사용하는 것을 type erasure라 한다.

    produceCommodities() 메서드는 동물들의 배열을 map을 통해 한 번씩 돌면서 produce() 메서드를 호출한다.

    • animal : map 클로저에 있는 animal 파라미터는 any Animal 타입이다.
    • produce() : produce()의 리턴타입은 연관 타입이다.

    Existential type에 연관 타입을 리턴하는 메서드를 호출하면 컴파일러는 type erasure를 사용해서 호출의 결과 타입이 무엇인지 결정한다.

    Type erasure는 연관 타입을 동일한 제약을 가진 일치하는 existential type으로 대체한다.

    Existential type? : 특정 추상 타입을 준수할 수 있는 concrete 타입을 existential type이라 한다.

    Concrete Animal 타입과 연관 타입인 CommodityType의 관계를 any Animalany Food로 대체해서 지워버렸다. any Food 타입은 연관 타입인 CommodityTypeupper bound라고 불린다.

     

    produce() 메서드가 any Animal에서 호출되므로 리턴 타입은 지워지고, any Food 타입의 값을 준다.

    Type erasure semantics

    Swift 5.7에서는 새로운 기능인 associated-type erasure를 지원한다. 프로토콜 메서드의 결과 타입에 나타나는 연관 타입(화살표 오른쪽에 나온 부분)은 "producing position"이라고 불리는데, 왜냐하면 메서드를 호출하는 것이 이 타입의 값을 생성할 것이기 때문이다.

     

    any Animal에서 이 메서드를 호출할 때 컴파일 타임에서는 concrete 결과 타입을 모르지만, upper bound(any Food)의 subtype이라는 것은 알고 있다.

    예를 들면 런타임에서 Cow 객체를 가진 any Animalproduce() 메서드를 호출하고 있다. Cowproduce() 메서드를 호출하면 Mail를 리턴할 것이다.


    Milkany Food 내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any FoodAnimal 프로토콜의 연관 타입인 CommodityType의 upper bound가 된다.

    연관 타입이 메서드나 이니셜라이저의 파라미터 리스트에서 사용된 경우를 보자. 위 코드에서 eat 메서드는 consuming position에서 연관 타입인 FeedType을 가지고 있다. (위에서 메서드의 리턴타입에 쓰여진 연관 타입을 producing position에 있다고 한 걸 기억할 것이다. 리턴 타입은 producing position에 있다 하니 메서드에 전달하는 파라미터는 consuming position에 있다고 한 것 같다.)

    다시 예시를 보면 Cow를 저장한 any Animal이 있다. Animal 프로토콜의 연관 타입인 FeedType의 upper bound는 any AnimalFeed다.

    하지만 임의의 any AnimalFeed가 주어졌을 때 그 타입이 Hay concrete 타입을 저장하고 있다는 보장을 할 수 없다. Type erasure는 consuming position에서 연관타입을 사용할 수 없게 한다. 대신, existenial any 타입의 박스를 열고 이를 함수에 넘겨줘야 한다.


    여기까지 봤을 때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있어서 정리하고 넘어간다.

    여기에서 animal.produce()를 했을 때 Milk를 리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던 이유? : 연관 타입이 producing position에 쓰였다. any Animalproduce() 메서드를 호출하면 결과로 어떤 구체적인 타입이 들어올 지 컴파일 타임에서는 알 수 없는데 upper bound인 anyFood의 subtype이라는 것은 알 수 있다. 이 결과를 어떻게 사용하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위 코드에서는 결과를 받기만 하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메서드의 파라미터에 연관 타입이 있는 경우는 왜 안되는가? : 연관 타입이 consuming position에 쓰였다. 전환이 다른 방향으로 일어나서 type erasure를 쓸 수 없다. 연관 타입의 upper bound dexistential 타입이 실제 concrete type으로 안전하게 변환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concrete type이 무엇인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즉 animal은 특정 concrete 먹이 타입을 인자로 받기를 기대하는데 이 concrete 타입이 무엇이라고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Type erasure with 'Self' result type

    연관 타입과 관련된 type erasure 행위는 Swift 5.6에서 볼 수 있는 기능과 비슷하다. 참조 타입을 복제하는 프로토콜이 있다고 해보자.

    프로토콜은 Self를 리턴하는 메서드 clone()을 정의한다. any Cloneable 타입에 clone()을 호출하면 결과 타입은 Self가 되고, upper bound로 type erasing된다. Self 타입의 upper bound는 프로토콜 자체이므로, 새로운 any Cloneable을 받게 되는 것이다.

    Summary

    • any를 사용해서 특정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concrete 타입을 저장한 existential 타입을 정의할 수 있다. 이제 연관 타입을 가진 프로토콜에서도 동작한다.
    • Producing position에서 연관 타입을 사용한 프로토콜 메서드를 호출할 경우 연관 타입은 upper bound(연관 타입 제약을 가진 다른 existential type)로 type-erasing된다.

    Hide implementation details

    feedAnimals() 메서드는 배고픈 동물을에게 먹이를 주는 메서드다. hungryAnimals를 연산 프로퍼티로 만들 었다. filter()any Animal에 적용하면 any Animal의 새로운 배열이 리턴된다.


    feedAnimals()hungryAnimals를 한 번 반복하고 즉시 이 임시 배열을 버린다. 이런 작업은 배고픈 동물들이 많을 때 비효율적이다.

    이런 temporary allocation을 피하는 방법 중 하나는 표준 라이브러리의 lazy collection 기능을 쓰는 것이다. filterlazy.filter로 바꾸면 lazy collection을 받을 수 있다.


    lazy collection은 filter의 결과와 같은 결과를 리턴하는데 temporary allocation을 피한다. 하지만 이제 hungryAnimals 프로퍼티의 타입은 복잡한 concrete 타입으로 명시되어야 한다. 이는 불필요한 구현 디테일을 노출한다.

     

    클라이언트, feedAnimals()는 우리가 hungryAnimals를 구현할 때 lazy.filter를 썼는지 알 필요가 없고, 내부를 반복할 수 있는 컬렉션을 받을 수 있다는 것만 알면 된다.

    Opaque result 타입은 복잡한 concrete 타입을 Collection의 추상화된 인터페이스 뒤에 감출 수 있다. 이제 hungryAnimals를 호출하는 클라이언트는 그들이 Collection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어떤 concrete 타입을 받는다는 사실만 알게 된다. 하지만 collection의 구체적인 타입은 모르게 된다.

    하지만 이 방법도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너무 많이 감춘다. 우리는 collection의 element 타입을 알 수 없기 때문에 할 수 있는 일은 요소를 전달하는 것이지 Animal 프로토콜의 어떤 메서드도 호출할 수 없다.

    "some Collection"을 쓸 때 constrained opaque result type을 사용해서 구현 디테일을 감추고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노출시키는 정도를 적당히 조절할 수 있다. Swift 5.7에서부터 Constrained opaque result type을 쓸 수 있다.

     

    Constrained opaque result type은 프로토콜 이름 뒤에 괄호와 타입 인자를 쓰는 것이다.

    hungryAnimals를 constrained opaque result type으로 정의하면 클라이언트는 이게 "any Animal의 배열의 LazyFilterSequence"라는 것은 모르지만 Collection을 준수하는 concrete type이고, Element 연관 타입은 any Animal과 같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제 feedAnimals()내의 반복문에서 animal 변수는 any Animal 타입을 갖기 때문에 Animal 프로토콜 내의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다.

    이게 동작할 수 있는 이유는 Collection 프로토콜이 Element 연관 타입을 "primary associated type"으로 정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프로토콜 뒤에 괄호를 붙이고 하나 이상의 연관 타입을 써서 primary 연관 타입을 설정할 수 있다.

    Collection<Element>some 키워드를 사용해서 opaque result type으로도 사용될 수 있고, any를 써서 constrained existential 타입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any Animal의 opaque Collection을 사용하면 함수에서 다른 underlying 타입을 사용했을 때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any Collection<any Animal>로 바꿔서 API가 다른 타입을 리턴할 수 있음을 알려야 한다.

    Identify type relationships

    Opaque 타입을 써서 제네릭 코드를 작성하는 것은 abstract type relationship에 기반해야 한다.

     

    Animal 프로토콜에 구체적인 동물 먹이 타입을 위해 새로운 연관 타입을 추가했다. 더불어 eat() 메서드에서 이 먹이 타입을 사용한다.

    그리고 동물 먹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적절한 종류의 작물을 기르고, 수확해서 먹이를 생성해야 한다.

    두 종류의 concrete 타입을 만들었다.

    • Cowhay를 먹는다. hay를 기르면 alfalfa 작물을 얻을 수 있다. alfalfa를 수확하면 hay를 얻는다.
    • Chickenscratch를 먹는다. scratch를 기르면 millet 작물을 얻는다. millet을 수확하면 scratch를 얻는다.

    위에서 봤던 두 종류의 concrete 메서드를 추상화해서 feddAnimal() 메서드를 한 번만 구현해서 소와 닭, 그리고 다른 동물들에게 모두 먹이를 주고 싶다고 해보자. feedAnimal()Animal 프로토콜의 eat() 메서드를 호출할 것이다. 그리고 이 eat() 메서드는 인자로 먹이를 받고 있기 때문에 consuming position에서 연관 타입을 가진다고 말할 수 있다. feedAnimal() 메서드가 some Animal을 파라미터 타입으로 갖게 정의해서 existential의 박스를 열고 내용물을 꺼낼 것이다.

    AnimalFeedCrop 프로토콜을 정의하고 내부에 연관 타입을 추가했다.

    • AnimalFeed : Crop을 준수하는 CropType 연관 타입을 가진다.
    • Crop : AnimalFeed를 준수하는 FeedType 연관 타입을 가진다.

    각 프로토콜의 타입 파라미터의 다이어그램을 위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1. 모든 프로토콜은 Self 타입(프로토콜을 준수하는 concrete 타입)을 가진다.
    2. 프로토콜은 Crop을 준수하는 CropType 연관 타입을 가지고 있다.
    3. 연관 타입 CropType은 중첩된 연관 타입 FeedType을 가지고 있다.
    4. 이 중첩된 FeedType은 또 중첩된 CropType을 가지고 있다.
    5. ...

    이를 통해 AnimalFeedCrop을 준수하는 연관 타입 간에 무한 중첩이 생기는 것이다. 이는 Crop 프로토콜에서부터 시작해도 마찬가지다.

    feedAnimal 메서드 내에서 Animal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타입의 값을 가져올 수 있고, Animal 은 연관 타입인 FeedType을 가지고 있었다.

    • type(of: animal) : some Animal: Animal
    • type(of: animal).FeedType : (some Animal).FeedType: AnimalFeed
    • type(of: animal).FeedType.grow() : (some Animal).FeedType.CropType: Crop
    • crop.harvest() : (some Animal).FeedType.CropType.FeedType: AnimalFeed

    그래서 feed는 결국 (some Animal).FeedType.CropType.FeedType 타입이 되는 것이다.

    이는 잘못된 타입이다. eat() 메서드는 (some Animal).FeedType을 요구하는데, 이렇게 작성하면 동물에게 잘못된 먹이를 줄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토콜 정의가 너무 일반적이기 때문에 concrete 타입 간의 요구되는 관계를 적절하게 모델링하지도 못했다.

    hay를 기르면 alfalfa를 얻고, 이를 수확하면 hay를 얻고, 이게 계속 반복된다. 만약 AlfalfaScratch를 수확한다고 잘못 수정해버렸다고 해보자. 이래도 concrete 타입은 여전히 AnimalFeedCrop 프로토콜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킨다.

    문제는 너무 많은 별개의 연관 타입이 있다는 것이다.(Self, Self.CropType.FeedType) 이 두 연관 타입들이 실제로 같은 concrete type임을 명시해야 한다.

    이 연관타입간의 관계를 where 문에서 same-type requirement를 설정할 수 있다.

    위 코드에서는 same-type 요구사항을 추가해서 AnimalFeed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concrete 타입에 제약을 설정했다.

    SelfSelf.CropType.FeedType과 같다고 명시한 것이다.

    최종 다이어그램

    따라서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했을 때 위와 같이 변한다.

     

    SelfCropType을 가지고 있는데, 우리는 same-type 요구사항을 추가해서 CropType.FeedTypeSelf와 같다고 명시했다. 따라서 두 번째 사각형에서 다시 첫 번째 사각형으로 돌아올 수 있는 것이다.

    최종 다이어그램

    Crop에서 시작했을 때도 same-type 요구사항을 추가해서 다이어그램을 위와 같이 바꿀 수 있다.

    이제 동물들에게 올바른 타입의 먹이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모델을 이해하면 이런 다른 중첩 연관 타입을 가진 것들 사이의 동일성을 정의하는데 same-type 요구사항을 사용할 수 있다.

     

     


    영상을 보면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많았어서 보는 도중에는 이분이 미웠는데,,,ㅋㅋㅋㅋ 영상 끝날 시점에 웃으면서 마무리하시니까 미웠던게 싹 없어짐

    반응형

    'i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WDC22] Design App Shortcuts  (0) 2022.06.20
    [WWDC22] Complications and widgets: Reloaded  (0) 2022.06.17
    [WWDC22] Embrace Swift generics  (0) 2022.06.16
    [WWDC22] Meet passkeys  (0) 2022.06.15
    [WWDC22] Swift Charts: Raise the bar  (0) 2022.06.14

    댓글

Designed by Tistory.